본문 바로가기
일상

자동차 과태료 조회 및 납부 방법

by vkqldh* 2022. 6. 29.
728x90
반응형

코로나로 인한 거리두기 해제와 더불어 도로에 자동차가 즐비한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자동차를 운행하다보면 나도 모르는 사이 교통 법규를 어기게 될 때도 있고, 주차 위반 등과 같은 과태료를 부담해야 할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과태료 부과 대상인지 여부를 우편을 통해 통보 받게 되지만, 이와 관련된 내용을 인터넷으로 보다 쉽게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하에서, 자동차 과태료 조회 및 납부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과태료의 정의

과태료란? 도로 위에 존재하는 카메라나 CCTV 등에 의해 교통법규 위반시 부과되는 벌금으로서, 별도의 벌점이 존재하지 않으며, 자동차의 소유주에게 부과됩니다. 이때, 벌금 부과 고지서가 자동차의 소유주에게 우편으로 발송되게 됩니다.

 

지자체에서 위반사실에 대해 부과하는 행정벌이며, 사전통지기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미리 납부해서 20% 감면 받는 것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 범칙금

이와 함께 헷갈리는 제도 중 하나가 바로 범칙금입니다.

 

범칙금이란? 교통 법규를 위반했을 때, 경찰관에게 적발시 부과되는 벌금으로서, 운전자에게 벌금과 벌점이 부과됩니다. 범칙금은 납부기한이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범칙금은 발부일 기준 10일 내에 납부해야 하며, 이 기간동안 납부하지 못할 경우, 납부기간 종료일의 다음날부터 20일 내에 통보받은 금액의 1.2배를 납부해야 합니다. 이때, 상기 금액을 납부하지 못하면 즉결심판이 청구되고, 행정처분으로 면허 정지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뉴스원 - 주정차 위반

 

또, 주정차 위반 과태료도 있습니다.

 

횡단보도, 건널목 등 주정차 금지 구간에 자동차를 주차하게 되면 부과됩니다. 

 

 

2. 자동차 과태료 조회 및 납부 방법

이파인 홈페이지

경찰청 민원 24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상기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이파인 홈페이지

이때, 해당 사이트에서 로그인을 한 후 메뉴바 상단의 교통범칙금, 과태료 미납 내역 조회를 해도 되고, 화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바로가기 메뉴에서 해당 메뉴를 직접 선택해도 무방합니다.

 

조회 후 납부 내역이 존재한다면, 계좌이체 방식을 통해 납부하거나 카드 납부 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홈택스

만약, 주정차 위반 과태료 조회가 필요하다면,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홈택스

상단 메뉴바에서 납부하기, 지방세외수입을 클릭하면 조회가 가능하며, 이때도 역시 로그인 후 조회가 가능하고, 납부 내역이 조회되면 계좌이체, 신용카드 등을 이용하여 납부가 가능합니다.

 

 

자동차 과태료는 모바일로도 조회 및 납부가 가능하니, 반드시 기간 내에 납부하시길 추천합니다. 만약, 계속해서 과태료 미납시에는 매월 1.2%씩 60개월간 최대 75%까지 가산금이 부과되고 차량 매매나 폐차시에도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경찰서 민원실에서도 납부가 가능하니 가까운 곳에 경찰서가 있을 경우에는 편하게 이용 가능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여름 휴가지 바다축제 소식

소비재 미국 주식 배당주 리스트

카타르 월드컵 엔트리 확대

누리호 관련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728x90
반응형

댓글